쉼의 시간과 공간으로의 초대
사이미술연구소 이승훈(미술비평)
‘쉼’이라는 명제로 시작되는 이종경 작가의 이번 전시에는 매우 단순한 형태의 색면 회화가 전시된다. 그가 이러한 형태의 작업을 해 온 것은 이미 10여년이 넘었
다. 그동안 그의 회화는 색조나 토운의 변화가 일부 있으나 방법적인 면에서 커다란 변화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사실 그는 자신의 회화를 크게 변화시키거나 발전시
키고자 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그는 회화적 형식 탐구 등과 같은 회화 자체 논리나 회화 내부 문제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작가는 이러한 면보다는 인간에 대해, 특별히 인간이 감각하고 느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주목해 왔음을 지금까지의 작업에서 보여왔다. 작가가 넓적한 붓으로 단
몇번의 붓질을 사용하여 캔버스에 붓의 움직임과 색면의 흔적만을 남기는 작업을 수없이 반복해 온 것은 회화적 실험을 통해 어떤 성취를 이뤄내기 보다는 작가가 인
간의 행위, 특별히 인간이 느끼고 감각하는 것들에 대해 기록하는 것 그 자체에 관심을 가졌었기 때문이었다.
작가는 결과적으로 이러한 작업에 대해 이번 전시를 통해 ‘쉼’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이처럼 선언적 정의를 하게 된 것을 보면 작가는 지난 10여년간 수없이 많
은 작업을 반복해 오면서 그가 감각하는 것들 혹은 감각하고 싶어해왔던 것들이 무엇이었는지를 이제 통찰할 수 있고 수 있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작가로서는 작
업을 하는 동안 그가 붓을 움직이고 작업 행위를 하고 있음에도 어떻게 보면 일이라 말할 수 있는 작업 행위가 바로 자신에게는 쉼의 시간이었고 결국 그가 그려낸 것
역시 쉼의 정서를 그리는 것이었음을 깨닫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그의 작업을 다시 돌이켜 보면 그가 그려낸 것은 쉼의 여운이고 쉼의 잔영이었던 것으로 느껴진다. 캔버스 전면을 덮고 있는 붓의 흔적은 정사각형
이나 직사각형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비슷한 형태가 몇번씩 겹쳐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는 마치 중요한 말을 할때 같은 내용을 몇번씩 다른 말로 바꿔말하듯이 같
은 지점 근처를 맴도는 듯한 반복된 사각형의 병치는 어떤 잔영과 울림을 만들어내고 있는 듯 하다. 혹은 중요한 순간 진심의 말을 전달하고 난 후에 말이 끝났음에도
가슴에 떨림이 계속되는 것처럼 진한 여운이 진동하듯 남아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이때 작가가 하고 싶은 말은 ‘쉼’이었기에 그것은 쉼의 여운이고 잔영일 것이다
이종경 작가에게 있어서는 작업 하는 가운데 붓을 움직이고 있음 자체가 쉼의 시간이 되었다는 말이다. 그렇기에 작가는 자신의 작업이 ‘일’이 아니라 ‘쉼’이
라고 말할 수 밖에 없었고 이때 느끼게 된 감각에 대해 마치 심금을 울린 노래를 하루 종일 따라 부르듯이 반복해서 되뇌이면서 다시금 그 자체에 감동하고 작은 떨림
과 같은 진동에 더욱 더 빠져들어가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의 작업이 크게 변화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선회하지 않은 것은 이처럼 그의 작업은 다른 것으로 대체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신을 회복시키고 안정감을 주는
쉼의 주는 방법이자 쉼의 시간이 되었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작가는 이와 같이 변화하기 보다는 긴장감을 내려놓고 같은 말을 반복하는 가운데 시선을 외부보다는
자신의 내면을 향할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넓은 붓이 지나간 색면 위에는 유사한 색면이 흔들리듯 겹쳐지기도 하고 마치 그림자 같은 보색의 색면이 곁들여 드러나기도 하지만 작은 차이 속에서도 크게 다르
지 않은 색면의 끊임없는 반복은 그 작품을 감상하는 이들의 시선마저 최면을 걸듯 붙들어 놓을 것이다. 작가가 작업 과정에서 같은 행위를 반복하며 침잠해 들어갔
던 ‘쉼’이라는 시간과 공간은 관객들의 시선뿐만 아니라 마음마저 흡수해 버릴는지 모른다.
빠른 속도와 변화에 길들여져 있는 현대인들에게 쉼은 어쩌면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다. 작가 역시 초기에는 그러한 현대사회 속에서 도망치듯 작업에 심취해 보고
자 했던 것일 수도 있다. 그의 작업 역시 일이 될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좋은 선택을 하게 되었던 것 같다. 작업에서 변화하고 발전하려는 욕망을 내
려놓게 되자 찾아오게 된 ‘쉼’의 정서는 작업장을 그리고 캔버스를 쉼의 공간으로 만들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제 작가는 그가 발견한 쉼의 공간에 관객들을
초대 하려 하는 것 같다. 작품을 감상한다기 보다는 그들이 쉴 수 있도록 말이다.
이전글 | 작가노트 | 2024-08-11 | 74 |